입력2024-05-29 10:18:23 수정 2024.05.29 10:35:36 박창규 기자
ㅣ노인 기준 65→70세로 높이자는 제안도
게티이미지뱅크
일본에서 일정 연령 이상인 부장, 과장 등은 직책을 내려놓는 ‘직책 정년제’를 폐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계속 줄어드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에어컨 등을 제조하는 공조업체 다이킨은 지난 4월 기존 56세이던 관리직의 직책 정년을 폐지했다. 동시에 정년은 기존 60세에서 65세로 늘렸고 59세 이하에 적용하던 자격 등급, 평가, 임금 제도 등도 정년까지 이어지도록 바꿨다.
이 회사는 제도를 바꾸면서 56세 이상인 직원 약 200명의 직책과 임금 등을 재설정했다. 동시에 사원들의 임금도 인상했다. 그 결과 인건비가 전년 대비 약 10% 늘었지만, 회사는 그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이킨의 인사담당자는 “지난해 말 기준 56세 이상 직원이 전체의 20%에 이를 만큼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베테랑’의 노하우를 활용하기 위해 연령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건설업체 야마토하우스공업도 2년 전 60세가 되면 일괄적으로 관리직에서 물러나는 직책 정년제를 없앴다. 이 회사는 60세 이상인 직원 약 50명에게 관리직을 맡기고 급여도 이전 수준으로 지급했다. 회사 인사담당자는 “인건비는 수백억 원가량 늘었지만 인력 부족과 직책 정년에 따른 시니어직원들의 동기 저하를 막는 차원에서 제도를 개선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일본의 정보기술업체 NEC도 2021년 4월 56세이던 직책 정년제를 폐지, 약 1000명을 관리직으로 복귀시켰다.
이러한 일본 기업들의 움직임은 근로 인력을 수급하기 점차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시니어 직원들의 근로 의욕을 낮추는 장벽들을 제거해 생산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일본의 조직·인사 전문 컨설팅 기관인 파솔종합연구소가 지난 2022년 대기업 34곳을 대상으로 직책 정년제 도입 유무 등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제도가 없다’는 기업이 28%였고, ‘폐지했다’ 또는 ‘폐지할 예정’이라는 답도 29%로 집계됐다. 조사를 진행한 후지이 카오루 연구원은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 정년 연장 등의 영향으로 직책 정년제가 점차 사라져가는 분위기”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일본 내에서는 노인의 기준을 높이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지난 23일 열린 일본 정부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 민간위원들은 현행 65세인 고령자 나이 기준을 70세부터로 높이자고 제안했다. 일본은 65세부터 노령연금, 돌봄보험 등의 적용을 받고 공공시설이용료, 교통요금 등을 할인받을 수 있는데, 이 기준을 높이자는 얘기다.
일본에서는 최근 정년을 늘리는 기업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도요타는 오는 8월부터 재고용 방식으로 70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변경했다. 스즈키는 60세 정년 이후 계약직 형태로 재고용된 직원들의 급여를 현역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입력2024-05-29 10:18:23 수정 2024.05.29 10:35:36 박창규 기자
ㅣ노인 기준 65→70세로 높이자는 제안도
게티이미지뱅크
일본에서 일정 연령 이상인 부장, 과장 등은 직책을 내려놓는 ‘직책 정년제’를 폐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계속 줄어드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에어컨 등을 제조하는 공조업체 다이킨은 지난 4월 기존 56세이던 관리직의 직책 정년을 폐지했다. 동시에 정년은 기존 60세에서 65세로 늘렸고 59세 이하에 적용하던 자격 등급, 평가, 임금 제도 등도 정년까지 이어지도록 바꿨다.
이 회사는 제도를 바꾸면서 56세 이상인 직원 약 200명의 직책과 임금 등을 재설정했다. 동시에 사원들의 임금도 인상했다. 그 결과 인건비가 전년 대비 약 10% 늘었지만, 회사는 그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이킨의 인사담당자는 “지난해 말 기준 56세 이상 직원이 전체의 20%에 이를 만큼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베테랑’의 노하우를 활용하기 위해 연령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건설업체 야마토하우스공업도 2년 전 60세가 되면 일괄적으로 관리직에서 물러나는 직책 정년제를 없앴다. 이 회사는 60세 이상인 직원 약 50명에게 관리직을 맡기고 급여도 이전 수준으로 지급했다. 회사 인사담당자는 “인건비는 수백억 원가량 늘었지만 인력 부족과 직책 정년에 따른 시니어직원들의 동기 저하를 막는 차원에서 제도를 개선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일본의 정보기술업체 NEC도 2021년 4월 56세이던 직책 정년제를 폐지, 약 1000명을 관리직으로 복귀시켰다.
이러한 일본 기업들의 움직임은 근로 인력을 수급하기 점차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시니어 직원들의 근로 의욕을 낮추는 장벽들을 제거해 생산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일본의 조직·인사 전문 컨설팅 기관인 파솔종합연구소가 지난 2022년 대기업 34곳을 대상으로 직책 정년제 도입 유무 등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제도가 없다’는 기업이 28%였고, ‘폐지했다’ 또는 ‘폐지할 예정’이라는 답도 29%로 집계됐다. 조사를 진행한 후지이 카오루 연구원은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 정년 연장 등의 영향으로 직책 정년제가 점차 사라져가는 분위기”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일본 내에서는 노인의 기준을 높이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지난 23일 열린 일본 정부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 민간위원들은 현행 65세인 고령자 나이 기준을 70세부터로 높이자고 제안했다. 일본은 65세부터 노령연금, 돌봄보험 등의 적용을 받고 공공시설이용료, 교통요금 등을 할인받을 수 있는데, 이 기준을 높이자는 얘기다.
일본에서는 최근 정년을 늘리는 기업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도요타는 오는 8월부터 재고용 방식으로 70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변경했다. 스즈키는 60세 정년 이후 계약직 형태로 재고용된 직원들의 급여를 현역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